양파 적기 정식 및 규격묘 선택 등 세심한 관심 필요

전북농기원, 양파의 품질유지와 안전 월동을 위한 적기정식 실시 당

김순주 기자 | 기사입력 2023/10/20 [09:31]

양파 적기 정식 및 규격묘 선택 등 세심한 관심 필요

전북농기원, 양파의 품질유지와 안전 월동을 위한 적기정식 실시 당

김순주 기자 | 입력 : 2023/10/20 [09:31]

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서는 고품질 양파 생산의 시작은  적기 정식과 규격묘인 직경이 6mm, 키는 20cm, 엽수는 3~4매를 선택하여 심기를 당부했다.

 

▲ 양파 규격묘  © 전라북도농업기술원

 

양파를 늦게 심으면 안전한 월동을 위한 활착기간이 부족하여 겨울철에 고사 및 서릿발 피해 등이 많이 발생하므로, 적기 정식과 뿌리활착을 위한 관배수 관리로 고품질 양파를 생산할 수 있도록 양파생육을 점검하여 적절한 농작업을 실시해야 한다.

 

전라북도내 양파 정식적기는 10월 중․하순으로, 정식 전 토양 소독과 규격묘로 병해충 피해가 없는 묘종을 심어 초기 생육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.

 

또한 심을 때 눕혀서 심게 되면 활착이 늦고 죽는 것과 구의 크기도 작아 수확량이 감소하므로 직각으로 바로 심고, 충분한 관수를 통해 초기에 뿌리 활착을 촉진시켜 줘야한다.

 

재배 중 생육 중 잎이 마르거나 초세가 약할 시 제4종 복합비료 또는 요소 0.2%(40g/물20L)를 일주일 간격으로 2~3회 처리해 주면 생육 개선에 효과가 있고, 노균병 예방을 위해 정식 전 약제처리 및 정식 이후 일주일 간격으로 2회 월동 전에 적용약제를 처리해야 한다.

 

전라북도농업기술원 기술보급과 권택 과장은 ‘정식한 후 물을 충분히 주고 겨울철 안정월동을 위해서 늦게 심은 포장은 부직포 덮기를 실시하여 생육을 촉진해 줄 것’을 당부했다.

  • 도배방지 이미지